ShinHyuck Kang

Associate Research Fellow/Department of Tax Policy Research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E-mail
shinkang@kipf.re.kr or shinkangecon@gmail.com

Phone (Office)
+82-44-414-2312

Address (Office)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336, SICHEONG-DAERO, SEJONG-SI, KOREA

ShinHyuck Kang

Email: shinkang@kipf.re.kr or shinkangecon@gmail.com

Field of Interest: Macroeconomics, Labor Economics, Quantitative Economics

Curriculum Vitae (PDF, Updated in July 2023)

### 2022 KLI Fertility and Labor Forum (Organizing Forum)


Working Papers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Substitutability and Policy Implications in South Korea
Revise & Resubmit, Korean Economic Review
Abstract
I explore the effects of policies that affect relative prices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 South Korea. To this end, I first estimate the constant elasticity of substitution (CES) production function using the Korean workplace level panel data. The implied elasticity of substitution implies that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re substitutes. Based on the empirical estimate, I implement policy experiments and counter-factual analysis using the calibrated heterogeneous firm model. The model is rich as it calibrates both firing and hiring costs, which are crucial factors of determining relative prices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Policy experiments imply that it is crucial to consider the degree of substitution and labor adjustment costs.

Paper (pdf) / SSRN Working Paper

Cyclical Dynamics of Shopping: Aggregate Implications on Labor and Product Markets
Reject & Resubmit,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Abstract
I propose a theory of price hunting over the business cycle with empirical evidence. In the U.S. data, not only is aggregate shopping time lower in recession but also it is more pronounced for unemployed individuals than employed ones. However, the standard price search models based on the income effect predict opposites. In this paper, I build a model of endogenous price hunting in decentralized labor and product markets. The model predicts that the joint effect of a procyclical return to shopping, which this paper newly finds, and the standard income effect explains the data. Empirical evidence based on the consumer panel data supports the arguments. Lastly, I identify that while search frictions amplify business cycle fluctuations, endogenous shopping effort consistent with the data does not.

Paper (pdf) / SSRN Working Paper

What can explain the hump-shaped job search intensities over the life-cycle?
Revise & Resubmit, Macroeconomic Dynamics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puzzling inverted U-shape job search profile for U.S. data. It is well established that the standard life-cycle incomplete market model is incapable of explaining this phenomenon because of the wealth effect. I argue two channels to explain the puzzle: (i) the resolution of perceived risks through Bayesian learning, and (ii) wealth accumulation in the incomplete market over the life-cycle. To support this, I empirically and analytically show that unemployed job seekers devote less efforts to find jobs under higher uncertainty and wealth.

Paper (pdf) / SSRN Working Paper

Publications (including accepted)

Endogenous Uncertainty and Monetary Policy
with Kwangyong Park
Forthcoming Macroeconomic Dynamics
Abstract
In this paper, we empirically explore the endogeneity of uncertainty and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uncertainty and monetary policy using a shock-restricted vector-autoregression model. We find that a contractionary monetary policy shock reduces financial uncertainty, opposite to Bekaert et al. (2013), while at the same time it also heightens real uncertainty. This discrepancy arises because the model allows endogenous shifts in uncertainty. We also show that endogenous responses of uncertainty amplify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on real activity.

DOI(Journal Link) / SSRN Working Paper

Work in Progress

Human Capital over the Life-Cycle: Ben-Porath AND Learning By Doing under Search Frictions


Fiscal Policy and Labor Market Mismatch over the Life Cycle


Publications in Korean

Policy Reports (in Korean)

노동시장 탐색 마찰과 인적자본축적 동학


Abstract
노동시장 탐색마찰이 존재하는 경제에서 구직상태일 때는 Ben-Porath로, 취업상태일 때는 Learning-By-Doing으로 인적자본을 축적할 수 있는 구조모형을 캘리브레이션하여 구직급여의 하한액, 지급기간, 정액식 지출증가 효과를 분석하였음

Link

청년과 중고령 세대 간 고용대체 관계 연구
with 김세움(연구책임자), 윤윤규
Abstract
제4장 “세대 간 노동수요 대체탄력성 분석” 수행. 집계시계열 자료와 사업체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세대 간 대체.보완관계 분석. 사업체패널조사를 활용한 분석에서는 CES 생산함수를 추정하였음

Link

미국 노동시장 동향과 물가 동향
([Global Issue Brief] Vol.3 글로벌 인플레이션 이슈와 진단)
Abstract
코로나19 시기의 경기불황 기간 이후 미국은 역사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과 함께 높은 명목임금 상승률 및 실업자 한 명당 빈 일자리 수 비율인 노동시장 탄력도(labor market tightness)가 관측되고 있다. 기존 연구와 최근 연구 모두 인플레이션 및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에 명목임금 상승이 물가에 전가효과(wage-price passthrough)가 더 클 수 있음을 보인다. 우려되는 임금 상승 · 물가 상승 간 악순환(wage – price spiral)을 막기 위해서는 각국 중앙은행이 기대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는 것이 다른 시기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Report(Download)

임금 상승과 물가 상승 간 관계
(노동리뷰 2022.08)
Abstract
본 연구는 장기 거시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임금 상승과 물가 상승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3변수 구조적 벡터자기회귀(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 SVAR) 모형을 통해 물가 상승이 명목임금 상승을 야기하는 것은 비교적 강건하게 발견되었다. 반면에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에 미치는 효과는 물가 상승 수준에 따라 다른 상태의존적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태의존적 국소투영법(State-Dependent Local Projection) 분석결과, 물가 상승 수준이 높을 때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에 미치는 효과는 물가 상승 수준이 안정되었을 때보다 양적으로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Link / Report(Download)

출산의 소득탄력성-미시적 이론과 거시적 결과
with 김선빈, 홍재화, 오준석
Abstract
Kim, Tertilt and Yum (2021)에서 보인 개별 가구소득과 출산 간 양(+)의 관계와 거시시계열 자료에서 관측되는 경제성장과 합계출산율 간 음(-)의 관계를 더 유의깊게 살펴보고 이질적 경제주체 중첩세대 일반균형 모형을 캘리브레이션하여 반사실적 분석을 수행하였음

Link

저출산이 여성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 Abstract | |:—————————| | 본 연구는 장기적인 저출산 추세가 여성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생산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정책을 식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근 남녀 임금격차를 비롯한 여성 노동시장 환경 추세를 먼저 살펴본 뒤, 가구 내 부부 간 가사노동 및 노동공급을 같이 결정하는 가구경제 동학을 고려하여 자녀 수와 여성 노동공급 간 관계를 실증적․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OECD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하여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낮은 여성 상대임금 및 경제활동참가율, 그리고 한국의 높은 여성 고등교육 정도를 보고하였다. 둘째, 여성가족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자녀 수에 따른 여성의 상대가사노동, 상대임금 그리고 경제활동상태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구조모형을 활용한 반사실적 실험을 통해 저출산이 여성 노동공급, 가사노동 및 직업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및 구조모형 분석 결과는 저출산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았던 여성의 양육 가사노동 정도가 감소하면서 여성 노동공급 증가 및 직업 선택의 변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해당 효과는 양적으로 크지 않을 수 있으며, 여성 교육수준, 가구 소득/자산, 자녀 상태에 따라 어떤 양육부담 경감이 여성 노동공급에 도움이 되는지가 다를 수 있는 이질성 역시 존재할 수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본 연구로부터 정책입안자와 연구자들이 참조할 수 있는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Link

생애주기 구직노력과 소득 위험
Abstract
주요결과: 생활시간조사 (2014)와 한국노동패널조사 (KLIPS) 17차 부가조사를 활용해 시간으로 측정한 구직노력은 Aguiar, Hurst and Karabarbounis (2013)과 달리 생애주기에 따라 연령별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보임. KLIPS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한국의 소득 프로세스 (income process)는 전반적으로 Heterogeneous Income Profile보다 Restricted Income Profile을 선호함을 보임. 지속성을 시사하는 AR(1) 모수 추정치는 전체표본 기준 약 0.9332~0.9533. Toy model을 활용해 한국의 경우 인적자본축적 행위를 구직노력으로 고려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임

Link

규모간 임금격차 변화 원인과 정책방향
with 성재민 (연구책임자), 방형준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규모 간 임금격차 축소를 위해 필요한 정책방향 재검토를 통해 청년 실업 등 노동시장의 문제를 완화하고 불평등과 격차 완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사업체 규모 간 격차의 추이와 추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 분석, 제3장에서는 규모 간 임금격차와 시장지배력 간 관계 분석, 제4장에서는 로봇의 도입이 기업 규모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가정하에 로봇 도입이 기업 규모에 따른 노동비용의 변화 설명 여부를 분석했다.

Link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청년 일자리(Ⅱ)
with 안주엽 (연구책임자), 오선정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산업별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추이 및 결정요인과 이의 효과(제2장), 탐색적 마찰이 존재하는 생애주기모형에서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인적자본축적에 미치는 효과(제3장), 학교교육 - 노동시장 이행(제4장), 코로나 시기 청년층 일자리 현황(제5장),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청년층의 인식(제6장), 청년기본법을 포함한 청년 대상 일자리 정책에 대한 인식(제7장)을 분석한 후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완화와 청년층 일자리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을 간략히 제시하고 있다.

Link

청년층 일자리 현황과 변화 전망
with 김유빈 (연구책임자), 김영아
Summary
본 연구는 청년 일자리의 현황과 변화를 전망하고, 청년 일자리의 실효적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코로나19의 부정적 여파로 청년층의 고용동향이 과거와 확연히 다른 추세로 접어든 만큼, 청년 노동시장의 고용충격을 분석 가능한 범위 내에서 면밀히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작금의 코로나19 충격과 향후 유사 경제․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재 코로나19 위기는 양적․질적 수준의 고용변동 외에, 감염병 위기 극복을 위한 근로자와 기업의 대응 양태에 있어서도 기존과 차별적인 변화를 가져온 바 있으며, 이에 코로나19 여파가 불러온 사회경제적 변화 양상은 청년층의 고용변화를 예측하는 데 있어 기존의 전망과 궤를 달리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고용 문제를 접근함에 있어 기존의 전통적 분석틀을 포괄하는 한편, 코로나19 위기가 가져온 청년 일자리의 양적․질적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청년층 노동시장의 향후 모습과 개선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된다.

Link

노동시장 불평등 현황과 대책
with 윤윤규(연구책임자), 장인성, 최세림, 김현경, 이아영, 김예슬, 김유선, 윤정향, 김용하, 김동배
Summary
이 연구는 한국 노동시장에서 불평등의 현황과 추이를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불평등의 원인을 규명하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동시장 불평등개선을 위한 정책개선의 방향 및 방안을 제시한다. 노동시장 불평등개선은 사회적 통합력 제고는 물론 우리 경제 및 노동시장의 성과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불가결한 토대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최근 중요하고 시급한 정책의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임금 및 소득 불평등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들, 즉 기업 규모·산업·고용형태에 따른 불평등문제, 플랫폼경제화 진전에 따른 불평등문제, 임금체계와 불평등의 관계, 소득 불평등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수단들(근로장려세제, 최저임금제)의 성과와 한계 등에 대해 주제별·이슈별로 심층적인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다양한 분석결과 및 정책제언들은 불평등문제 연구 분야에서 학술적인 기여와 더불어 노동시장 불평등개선을 모색하는 정책당국에 유용한 정보 및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Link


Publications in Kore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Wage – Price Spiral using long-time series wage data (한국 장기 임금 자료를 활용한 임금 – 물가 악순환(Wage – Price Spiral) 분석)
The Korean Journal of Economic Studies (경제학연구) 게재예정
<summary markdown="span">Investigating Effects of Employment Maintenance Subsidies Using a Heterogeneous Firm-Model (구조모형을 통해 살펴본 고용유지지원제도가 고용 및 거시경제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Korean Economic Forum (한국경제포럼), No 15(3), p.87 - 116 (in Korean)
Abstract
I explore the effects of policies that affect relative prices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 South Korea. To this end, I first estimate the constant elasticity of substitution (CES) production function using the Korean workplace level panel data. The implied elasticity of substitution implies that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re substitutes. Based on the empirical estimate, I implement policy experiments and counter-factual analysis using the calibrated heterogeneous firm model. The model is rich as it calibrates both firing and hiring costs, which are crucial factors of determining relative prices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Policy experiments imply that it is crucial to consider the degree of substitution and labor adjustment costs.

Journal Link


Analyzing the employment impact of the R&D investment policies of the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industry : Differential effects by firm characteristics with Sun Jung Oh (의약품제조업 R&D 투자 정책의 고용효과 분석, 공저자: 오선정)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한국정책학회보), No 30(2) (in Korean)

| Abstract | |:—————————| | In the 2019 Biohealth Industry Innovation Strategy,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expand the government’s R&D investment in the Biohealth sector from 2.6 trillion Won to more than 4 trillion Won per year by 2025. One of the three goals of the 2019 Innovation Strategy is to create 300,000 new jobs, and this strategy focuses on innovative medicines. To predict the effect of the R&D investment policy in the 2019 Innovation Strategy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R&D investment policies, this study analyzes the employment impact of the 2011-2018 R&D investment policies in the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industry. We combined administrative and firm-level data to analyze the policy effects using the panel fixed-effect model. The main results suggest that the government’s R&D investment increased employment. To increase employment, increasing the absolute amount of labor costs may be more efficient than increasing the ratio of labor costs to the total research expenditure. In addition, we found suggestive evidence that the employment effect of government R&D investment could be greater in firms directly linked to government R&D investment. As such, the employment effect of the government’s R&D investment policy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irm characteristics. Becaus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R&D investment policy is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R&D budget can be continuously supported to private companies that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industrial growth in the long term, even though the effect of job creation appears somewhat small in the short term.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separately manage the goals and areas of the government’s R&D investment so that both firms that can create jobs in the short term and firms that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increase employment in the long run can be benefited from the R&D investment policy.

Journal Link